“집 안 사면 손해볼까 불안했는데”…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 74% 줄었다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전후
거래량 4693건→1312건 ‘뚝’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연합뉴스]
정부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초강력 6.27 대출 규제를 발표한 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가 거래량도 70% 이상 줄었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대출 규제 발표 이후 2주 동안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직전 2주 대비 74% 감소했다.


규제 발표 직전인 6월 13일~26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693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1141건(24.3%)이 최고가 거래였다.

직방 측은 “지금 사지 않으면 더 오른다는 불안심리가 특히 마포·성동·강동구 등으로 확산되며 최고가 거래가 더욱 집중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6.27 대출 규제 발표 이후인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0일 사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312건에 불과했다.

직전 2주 대비 거래량이 3분의 1토막 난 것이다.

최고가 거래량도 300건 수준에 그쳤다.

최고가 거래량 비중은 22.9%로 직전 2주 대비 1.4%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기존의 공격적인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게 직방 측 설명이다.


서울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아파트. [매경DB]
같은 기간 지역별로는 성동구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에서 22건으로 84%나 줄었다.

상왕십리동 텐즈힐2단지(7건→2건), 옥수동 옥수파크힐스(13건→1건) 등 대단지 위주로 최고가 거래가 간간히 이뤄질 뿐이었다.

마포구 역시 최고가 거래량이 규제 전 137건에서 규제 후 18건으로 급감했다.

올 들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던 마포래미안푸르지오와 공덕자이 등에선 대책 이후 최고가 거래가 1건도 없었다.


강남구 최고가 거래량은 112건에서 41건으로 63% 줄었다.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개포동 개포주공5단지 등에서 최고가 거래가 전무했다.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으로,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강남3구에선 토지거래허가 절차 이후 계약을 체결하는 상황이다.

실제 계약을 약정한 시점과 서류 상의 계약일 시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대책 이후 체결된 것으로 보이는 최고가 거래 일부가 대책 전 약정된 거래일 수 있단 의미다.


직방 관계자는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현재의 거래 절벽 상황에 대해 일시적인 숨고르기 국면일 수 있다는 전망이 함께 제기된다”며 “입지가 좋거나 개발 기대감이 있는 일부 지역은 규제 여파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사진출처=직방]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