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맨' 트럼프 백악관이 10일 공식 SNS 계정에 슈퍼맨의 모습을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미지를 올렸다.

이는 신작 영화 '슈퍼맨'의 포스터에 트럼프 대통령의 모습을 합성한 것으로, 온라인에서 뜨거운 찬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백악관 엑스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웃 국가 캐나다 때리기에 나섰다.

관세 협박과 주권 농락으로 쥐스탱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의 사임을 끌어낸 트럼프 대통령이 마크 카니 총리에게 서한으로 35%라는 높은 상호관세를 통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카니 총리에게 보내는 관세 서한을 공개했다.

서한에는 "캐나다는 미국과 협력하는 대신 자체 관세로 보복했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캐나다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로 3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펜타닐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캐나다에 관세를 부여했다.

이 위기는 부분적으로는 캐나다가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을 차단하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그럼에도 캐나다는 협력 대신 관세로 보복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캐나다는 많은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이 있으며 이는 미국에 지속 불가능한 무역적자를 초래한다"며 "캐나다는 미국 낙농업자에게 최대 400%에 달하는 엄청난 관세를 매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캐나다가 이에 대응해 자국 관세를 인상한다면 그만큼 미국의 35% 관세에 추가로 반영될 것"이라며 재보복을 경고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에 관세 서한을 보낸 것처럼 캐나다와 협상을 벌일 여지도 남겼다.

그는 "캐나다가 펜타닐 유입을 막기 위해 협력한다면 관세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미국으로 들어오는 불법 이민자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를 향해 25%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엄포에 카니 총리는 이날 X(엑스)에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캐나다 정부는 우리 근로자와 기업을 굳건히 보호해왔다"며 "수정된 기한인 8월 1일까지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율 25∼40%를 적시한 서한을 공개했다.

9일에도 브라질·필리핀 등 8개국에 추가 관세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NBC 인터뷰에서 상당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상호관세를 부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나머지 모든 국가는 15%든 20%든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국가'는 서한을 받지 않은 나라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격에 각국은 자신들만의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미국이 50%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50%를 매기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재판을 중단하라는 정치적인 이유로 브라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10%에서 50%로 대폭 올렸다.


동아시아 최대 동맹국인 일본 역시 트럼프 행정부에 강한 어조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9일 지바현 후나바시역 앞에서 진행된 참의원선거 지원 유세 도중 미·일 관세협상과 관련해 "국익을 건 싸움이다.

깔보는데 참을 수 있나"라고 말했다.

20% 상호관세 서한을 받은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급히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에 건너가기로 했다.

필리핀 대통령실 측은 마르코스 대통령이 오는 20∼22일 미국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미국 백악관 관계자는 회담이 오는 22일로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