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피가 장중 3200을 돌파하며 연고점을 경신한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방향성에 부합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11일 보고서를 내고 “배당은 소득세를 부과하지만 자사주 소각은 과세 없는 주주가치 제고 수단”이라며 “의무 소각이 현실화하면 국내 증시에 존재했던 기보유 자사주 물량 출회(오버행) 우려 또한 해소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결과적으로 소각 의무화는 주주가치 제고와 투자심리 개선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9일 더불어민주당 코스피 5000 특별위원회 소속 김남근 의원은 자사주 매각을 의무화하는 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법안을 9월 본회의에서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자사주 소각은 전체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기 때문에 통상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회사 전체 가치는 그대로인데, 회사를 나누는 조각(주식 수)이 줄어들며 가치가 올라간다는 뜻이다.
신한투자증권은 국내 주식시장이 세계 주요국에 비해 낮은 밸류에이션을 보여온 배경에 ‘지속적인 주주가치 희석’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2002년 이후 현재까지 코스피 상장주식 수와 자기주식 수의 연평균증가율(CAGR)은 각각 3.7%, 3.2%로 이 기간 동안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연평균 1.2% 성장에 그쳤다”고 짚었다.
신한투자증권은 자사주 소각이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높이는 동시에 이 과정에서 주가수익비율(PER·시가총액 ÷순이익)은 낮아지고 주가순자산비율(PBR·시가총액 ÷ 순자산)은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말 기준 코스피 상장사들이 자사주를 전량 소각한다고 가정했을 때 PBR은 소각만으로 3.3% 상승했다”며 “자사주 매입은 유통되는 주식 수를 줄여 주당순이익(EPS)을 높인다”고 했다.
다만 “자사주 처분에 따른 오버행 우려, 제3자 대상 블록딜(실
효성 감소) 가능성 등의 우려와 지나친 경영권 침해라는 비판도 있다”면서도 “방향성 자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방향이다”고 강조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이와 함께 단기적으로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도 제시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최근 단기 급등을 고려할 때 자사주 비율 상위 10% 종목 중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거래회전율이 낮은 종목이 상승 여력이 있다”며
삼성화재,
KT&G,
HD현대,
엔씨소프트,
휴젤, SKC 등을 상승 여력이 있는 종목으로 꼽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