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을 정찰드론으로”...中연구진, 초경량 뇌 조종장치 개발

74mg 무게 장치를 꿀벌의 등에 묶어
3개 바늘로 뇌에 전기자극 줘 제어
“군사 정찰, 실종자 수색 사용 가능”

중국 연구진이 살아있는 벌을 정찰과 수색작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초경량 곤충 두뇌 조종장치를 개발했다.


11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베이징 이공대학의 자오제량 교수팀은 최근 중국기계공정학보에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기는 적외선 원격조종장치를 비롯한 여러 칩을 탑재하고도 무게가 74mg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꿀벌이 한 번에 옮길 수 있는 꿀의 무게보다 가볍다.


이 기기는 기존 싱가포르에서 개발한 장치 무게의 3분의 1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가볍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싱가포르에서 만든 장치는 딱정벌레와 바퀴벌레에 사용했는데, 이들 곤충은 비교적 짧은 거리를 느리게 기어갈 뿐만 아니라 쉽게 지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벌은 쉬지 않고 5km를 날아갈 수 있다.


중국 연구진은 두뇌 조종장치를 벌의 등에 묶고 기기에 달린 3개의 바늘로 뇌에 전기자극을 주는 식으로 환각을 일으켜 비행 방향을 명령했다.

벌은 90% 확률로 명령을 따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러한 ‘사이보그 벌’이 군사용 정찰이나 지진 등 자연재해 현장에서의 실종자 수색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연구진은 “곤충 기반 로봇은 숙주의 우월한 기동성, 위장 능력, 환경 적응력 등을 물려받는다”며 “인공적인 대체재와 비교해 스텔스 기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만큼 시가전·대테러작전·마약단속 등에서 비밀정찰 업무를 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조종의 정확성과 반복도 등에서 여전히 결함이 존재해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 간 사이보그 기술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이전에는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선두에 서고 일본이 뒤를 바짝 쫓는 형국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이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