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 “EBS 연계율 50% 수준 유지”
 |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2023년 11월1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오는 11월 13일에 치러진다.
성적통지표는 12월5일에 배부된다.
이번 수능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면서도 적정 변별력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교육당국은 밝혔다.
6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런 내용의 2026학년도 수능 시행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평가원은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고 EBS 연계 교재와 강의로 보완한 학생이라면 누구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되, 6월과 9월 모의평가 결과와 영역별 특성을 고려해 적정 변별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전 영역·과목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만큼 해당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하고, 수능이 끝난 후 문항별 성취기준 등 교육과정 근거를 공개할 예정이다.
EBS 연계율은 영역·과목별 문항 수를 기준으로 50% 수준을 유지한다.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수능 출제의 연계는 간접 방식으로 이뤄진다.
평가원은 연계 교재에 포함된 도표, 그림, 지문 등 자료를 활용해 연계 체감도를 높일 예정이다.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는 변별이 아닌 고교 졸업자가 갖춰야 할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한다.
한국사 영역 미응시자의 경우 수능 응시 자체가 무효 처리되고 성적 전체가 제공되지 않는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시험 체제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가 적용된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 최대 2개를 골라 응시할 수 있다.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다.
응시원서 현장 접수 기간은 8월21일∼9월5일이다.
올해부터는 전국에서 수험생 본인이 PC나 휴대전화에서 응시원서 사진 등록과 원서 내용 입력을 할 수 있다.
응시료는 발급된 가상계좌로 납부하면 된다.
천재지변, 질병, 수시모집 최종 합격, 입대, 자격상실 등의 사유로 수능에 응시하지 않은 수험생에게는 소정의 신청 절차에 따라 응시 수수료의 일부를 환불한다.
환불 신청 기간은 11월17∼21일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