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5 해운대구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참가 신청서를 작성하는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구직자 10명 중 8명은 올해 상반기 일자리 구하기가 작년보다 더 어려워졌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26일 공개한 구직자 801명 대상 ‘올해 상반기 체감 구직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대비 ‘구직난이 심화됐다’고 느낀 비율이 83.1%에 달했다.

14.9%는 ‘예년과 비슷하다’고 답했고, ‘구직난이 완화됐다’는 응답은 2%뿐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 형태로는 대기업(86.4%), 중견기업(85.5%), 중소기업(82.9%) 등 순으로 각각 집계됐다.

대기업 지원자들일수록 구직난을 느끼는 비율이 소폭 높았다.


외국계 기업(71%) 지원자들은 상대적으로 구직난을 체감하는 비율이 낮았다.


구직난이 예년과 비슷하거나 심화했다고 느낀 이들은 그 이유로 ‘채용 공고가 적거나 없어서(55.5%·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양질의 일자리가 적어서(35.4%)’, ‘지원 경쟁률이 높아져서(34.1%)’, ‘기업별로 채용하는 인원수가 많지 않아서(33.9%)’, ‘서류 탈락 횟수가 늘어서(31.6%)’ 등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일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2025 인천 여성 일자리 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구직난 심화로 ‘눈높이를 낮춰 입사 지원(47.8%)’, ‘입사 지원 횟수 증가(42.5%)’, ‘묻지마 지원(25.1%)’ 등의 추세도 두드려졌다.


구직자 중 올해 하반기에도 구직난이 여전할 것으로 보는 이들은 조사 대상의 절반 수준인 48.9%로 집계됐다.

더욱 심화할 것 같다는 응답은 28.4%, 완화될 것 같다는 답변은 12.7%를 각각 기록했다.


구직난이 여전하거나 심해질 것 같은 이유로는 ‘기업 경영 환경이 어려워서(53.5%)’가 1위로 꼽혔다.


이밖에 ‘내수 진작이 쉽게 안 될 것 같아서(45.8%)’, ‘관세전쟁 등 국제정세가 요동치고 있어서(34.9%)’, ‘일자리 창출 정책이 힘을 못 발휘할 것 같아서(33.6%)’ 등 의견도 있었다.


응답자들은 앞으로 취업 시장에 훈풍이 불기 위해서는 ‘경기 회복과 경제 성장(74.9%)’, ‘실효성 있는 정부의 일자리 정책(45.7%)’, ‘직무능력 중심 채용 문화 확대(32.2%)’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사람인 관계자는 “급한 마음에 희망 직무나 보유 역량과 벗어나는 ‘묻지마 지원’은 지양하고, 취업 목표에 맞는 직무 역량과 경험, 인공지능(AI) 활용 능력 등 기업들이 최근 인재들에게 요구하는 능력을 쌓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