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하반기부터 건설 착공 감소의 여파가 본격화되며 내년 수도권을 중심으로 '입주 절벽'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24일 '2025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시장 진단 및 내수경기 활성화 전략 세미나'를 통해 "수급 불균형 심화와 수요 양극화에 대한 선제 대응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이날 건산연에 따르면 수도권 입주 물량은 올해 14만가구에서 내년 10만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이는 최근 몇 년간 건축 착공이 지속해서 줄어든 결과다.
김성환 건산연 연구위원은 "지난 상반기에는 공급 병목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 간 회복 양상이 분화됐다"며 "하반기부터는 착공 감소의 여파가 입주 물량 급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수급 불균형과 수요 양극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유연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지역 간 회복 양상의 격차도 뚜렷하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020년 이후 최대 수준을 회복한 반면 지방 미분양은 8개월 연속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단기 시장 회복세가 이어지는 모양새지만 이면에는 구조적 불균형이 심화 중이라는 분석이다.
건산연은 중장기적 수급 균형과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공급 정상화와 지역 균형을 위한 4대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그는 "3기 신도시와 공공주택의 조기 공급, 민간 사업성 제고, 금융 접근성 강화, 지방 정주 여건 개선이 병행돼야 실
효성 있는 부동산 경기 활성화가 가능하다"며 "정책 신뢰 회복과 수요 맞춤형 전략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한편 건설산업 전반의 침체 흐름도 뚜렷하다.
올해 건설 수주는 전년 대비 1.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에 그친다.
건설투자는 오히려 전년 대비 5.3% 줄어들며 5분기 연속 역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됐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수 부진, 높은 공사비, 대출 규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복합적인 제약 요인이 건설경기 회복을 가로막고 있다"며 "단기적 경기 부양책과 함께 산업 체질 개선을 위한 구조적 접근이 절실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건산연은 재정 지원 확충과 수요침체 개선, 규제·제도 합리화를 핵심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내년 SOC(사회간접자본) 예산을 30조원 수준으로 상향 편성하고 주택 거래세 완화 및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등 수요 기반 확충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내놨다.
또 획일적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과 보유세 등 제도 개선을 통해 실수요자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중소 건설사 경영 안정화 대책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재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