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 단행한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 등의 인선은 '현장'과 '전문성'을 중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 민간기업에서 경력을 쌓은 전문가들을 대거 발탁한 점이 눈에 띈다.

기존 정치권 중심의 인사 구도에서 벗어나 실무형 인재들로 내각을 구성한 것은 파격적이고 긍정적이다.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자는 LG AI연구원을 이끈 인물로, 한국형 거대언어모델 개발을 주도한 AI 전문가다.

앞서 네이버 출신의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기용에 이어 AI 최고 전문가를 과기정통부 수장으로 발탁한 것은 AI를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강한 메시지로 읽힌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 후보자 발탁 역시 의미 있는 인선이다.

전 네이버 대표로 라인, 웹툰 등에서 디지털 혁신을 이끈 기업인이다.

플랫폼 기반 스타트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소벤처 생태계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국무조정실 국무1·2차장과 사회수석을 역임한 정책통으로, 2023년부터 최근까지 LG글로벌 전략개발원장을 지내며 민간 경력을 쌓았다.

민간 부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 정책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명된 것에 대해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노동 개혁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이 절실한 시점에서 '노조편향' 인사가 수장을 맡는 것은 정책의 중립과 균형에 의문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걱정이 기우에 그치길 바란다.


이번 인사가 실제 '혁신'으로 이어지려면 기업인 출신 인사들이 갖춘 혁신역량과 속도, 실행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

관료 시스템에 갇히지 않고, 경제회복과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권한과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

현장을 아는 전문가들의 현장 중시 정책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성과를 만들어내길 기대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