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 보안 서비스를 강화하며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을 높이고 있습니다.
KT는 자사의 대표 B2B 보안 서비스 '클린존(Clean Zone)'과 'AI메일보안'을 통해 국내 기업들의 안전한 디지털 환경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클린존'은 디도스(DDoS) 공격 발생 시 유해 트래픽을 자동 차단하고 정상 트래픽만을 서버로 전달해 서비스 중단을 막는 보안 서비스입니다.
별도 장비 설치 없이 이용 가능한 서비스형 보안(SECaaS) 방식으로, 최근 대규모 DDoS 공격을 받은 IT기업 A사가 피해를 사전에 예방한 사례도 소개됐습니다.
이와 함께 KT는 AI가 기업별 트래픽 패턴을 학습해 정밀한 탐지를 지원하는 기능을 탑재했으며, 아웃 오브 패스 기술 특허와 함께 대용량 공격 대응 노하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KT는 클린존 방어 용량을 2배 이상 확대하고, 하반기 중 실시간 대시보드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AI메일보안'은 이메일을 통한 스팸, 피싱, 랜섬웨어 등을 실시간 탐지·차단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최근 해커가 식품기업 B사를 대상으로 비밀번호 탈취를 시도했으나, AI 탐지 기능이 이를 차단해 정보 유출을 막는 데 성공했습니다.
KT는 이 서비스에 3분기부터 대형 언어모델(LLM)을 접목해 위협 분석 리포트 기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AI 어시스턴트를 통해 탐지 내용 요약과 대응 가이드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게 할 계획입니다.
명제훈 KT Enterprise부문 서비스Product본부장 상무는 "KT는 국내 기업고객의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위해 보안 서비스를 끊임없이 고도화하고 있다"며 "AI 기반 정밀 분석과 대응 체계를 바탕으로 더욱 지능화되는 사이버 위협에도 기업들이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