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5월까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증가한 수출 실적에 3일 자동차를 비롯해 대형 수출주들이 큰 폭으로 반등했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피크아웃 우려를 해소하면서 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각각 4.74%, 2.55% 올랐다.


반도체 수출 증가로 삼성전자가 2.99%, SK하이닉스가 2.64% 상승했다.

미국 4월 개인소비지출(PCE)이 시장 예상 수준으로 나오며 외국인들도 코스피에서 1821억원을 순매수했다.


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74% 상승한 2682.52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의 상승은 1일 발표된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출입 동향 데이터가 이끌었다.

반도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54.5% 늘어난 113억달러를 기록하고 자동차 수출은 역대 5월 중 최대치인 64억9000만달러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신차 생산 시설공사로 일부 생산시설이 정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단가가 높은 하이브리드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수출 확대로 전년 대비 증가세가 계속됐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22일 미·중·EU 간 자동차 관세를 둘러싸고 갈등이 심해지자 반사효과를 누릴 것이란 기대에 현대차 주가가 하루 만에 9.49% 상승하기도 했다.


그 뒤 주가가 소폭 조정국면에 들어갔으나 지난달 미국 수출이 전년 대비 37.8%나 늘어났다는 발표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게다가 추가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여전히 남아 있는 터라 8월 '인베스터데이'까지는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시장은 현대차가 인도 법인 기업공개(IPO)를 통해서 확보한 현금으로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 같은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조희승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에는 물량 효과와 우호적인 환율 효과가, 하반기에는 제품 믹스 개선과 비용 절감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현대차 실적 측면에서 우려할 요인은 크지 않다"면서 "다만 자사주 매입 규모에 대한 높은 기대가 주가를 계속 끌어올린 만큼 막상 인베스터데이 이후엔 재료 소멸로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 업체 중심의 제조업 정책을 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도 주가의 또 다른 변수다.


5월 수출도 견인한 하이브리드 차량이 올해는 전년 대비 30% 늘어난 수준까지 판매량이 확대돼 수익성을 더 개선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2025년 이후 대형 SUV인 팰리세이드, 텔루라이드와 제네시스까지 하이브리드 라인업이 갖춰지면, 하이브리드 수익성은 내연기관차를 뛰어넘을 전망"이라며 "주주환원 정책에 신뢰가 쌓이면 도요타나 혼다 같은 일본 완성차 업체와 밸류에이션 격차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기아 역시 자기자본수익률(ROE)은 21.9%로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배로 글로벌 완성차 가운데 가장 저평가된 수준이다.

이날 중국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시장의 예상보다 높은 51.7을 기록하며 코스피 상승에 힘을 보탰다.


[김제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