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정부 압박에 통신비 더 낮춘다…통신사·단말기 제조사 '고민'

【 앵커멘트 】
오늘 집중취재 시간에는 통신비와 관련한 이슈 짚어보겠습니다.
SK텔레콤을 비롯한 통신 3사가 최근 가격을 낮춘 요금제를 잇달아 선보이고 있죠.
삼성전자는 보급형 스마트폰을 3년 만에 재출시했는데요.
출입기자와 관련 내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진경 기자, 어서오세요.

【 기자 】
안녕하세요.

【 앵커멘트 】
스마트폰 제조사와 통신사들이 이 같은 정책을 펴는 이유가 뭔가요?

【 기자 】
정부의 '통신비 완화 정책' 때문입니다.

윤석열 정부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통신비 부담 완화책을 펴고 있는데요.

앞서 두 차례에 걸쳐서 출시된 5G 중간요금제가 이 정책의 대표적인 사례죠.

정부는 통신 3사와 협의해 내년 1분기에 3만 원대 5G 요금제를 신설할 예정인데요.

LTE와 5G 구분 없이 속도로 요금을 선택하는 통합요금제와 청년 대상의 5G 요금제 등도 도입을 논의 중입니다.


【 앵커멘트 】
그렇군요.
정부가 통신 3사에게 지속적으로 통신비 부담 완화를 요구하면서 이미 실천된 정책들도 꽤 많다고요.
가장 최근에 마련된 요금제는 어떤 건가요?

【 기자 】
SK텔레콤은 지난달부터 자사 가입자들에게 5G 단말기로도 LTE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당초 5G 스마트폰으로는 5G 요금제만 가입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 종류에 관계없이 요금제를 골라서 가입할 수 있게 한 건데요.

50GB를 쓰는 SK텔레콤 가입자로 예를 들어보자면요.

기존에는 LTE에 중간요금제가 없어 6만9천 원의 100GB짜리 요금제를 이용해야 했지만 이번 개편으로 6만4천 원짜리 5G 요금제로 변경해 통신비를 5천 원 절약할 수 있게 됐습니다.

KT와 LG유플러스도 이 같은 요금제 선택 가입 제도 도입을 고민 중이라고 합니다.


【 앵커멘트 】
사실 요금제는 이통 3사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사업인데, 통신사들 입장에서 달갑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 기자 】
맞습니다.

요금제 중에서도 5G 요금제가 통신사들의 실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거든요.

최근에 5G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터라 이 같은 정부 정책이 더 치명적인 상황인데요.

KT와 LG유플러스는 이미 지난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어닝 쇼크를 기록한 바 있죠.

업계에서는 통신사들에 대한 압박이 더 심해질 경우 6세대 이동통신 시대를 준비할 여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신민수 /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
- "통신료가 인하되면 통신 사업자의 평균 수익률이 감소할 수밖에 없어서 전체 수익이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수익률이 떨어지면 다음 세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사용할 자원이 부족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새로운 네트워크로의 진화가 늦춰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에 5G 사업 부진 기조가 계속되고 있어서 통신사들의 실적은 4분기에도 좋지 않을 전망입니다.


【 앵커멘트 】
정부 정책과 수익성 사이에서 통신사들이 난감한 입장일 것 같네요.
정부가 스마트폰 제조사들에게도 이 같은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최근 방송통신위원회는 삼성전자, 애플코리아와 휴대전화 구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단말기 가격을 낮춰 가계통신비 부담을 덜겠다는 취지입니다.

삼성전자가 오늘(8일) 갤럭시 S23 FE를 출시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겠는데요.

보급형 모델인 갤럭시 FE 신형이 국내에 출시된 건 지난 2020년 이후 3년 만입니다.


【 앵커멘트 】
정부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단말기 부담을 낮추기 위한 새로운 정책까지 도입했죠?

【 기자 】
네, '갤럭시 퍼펙트 프로그램'이라는 정책인데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신제품을 구매하고 24개월 후 단말기를 반납하면 출고가의 50%를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통신 3사도 지원사격에 나섰습니다.

SK텔레콤LG유플러스는 갤럭시 S23 FE를 새로 개통하는 고객이 중고 단말기를 반납하면 5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들 통신사는 중저가 단말기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멘트 】
소비자들의 선택권과 편익이 늘어나는 건 환영할 일이지만 차세대 네트워크 개발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은 경계해야 할 것 같네요.
오늘 내용 잘 들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