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폴더블폰 신제품을 공개하는 언팩을 예년보다 2주 앞당겨 7월 26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간 언팩을 8월 둘째 주에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진행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결정은 이례적입니다.
업계에서는 조기 언팩에 대해
삼성전자가 하반기 실적 개선을 위한 '구원 투수'가 절실했기 때문으로 오늘(8일) 해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주력인 반도체 부문의 부진으로 올해 상반기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5.5% 급감했고, 2분기에는 95.7% 줄어들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기록적인 적자이지만 그나마 폭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은 MX 부문이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삼성전자 전체의 실적 부진을 일부 상쇄했기 때문입니다.
MX 부문은 지난 2월 출시된 갤럭시 S23 시리즈가 판매 호조를 보인 덕분에 1분기에 4조 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S23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1천100만 대가 팔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플래그십 폴더블폰인 갤럭시 Z플립5와 Z폴드5가 7월에 '조기 등판'하면 S23 시리즈가 보여줬던 신작 효과를 3분기 내내 누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더욱이 경쟁사 애플이 새로운 스마트폰을 9월 공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삼성전자는 두세 달 동안 신제품의 초기 판매량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이동 통신사는 Z플립5와 Z폴드5의 사전 예약 접수를 8월 1일 시작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삼성전자가 언팩 장소를 사상 처음 국내로 결정한 배경도 주목됩니다.
폴더블폰 '종주국'이라는 점을 각인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국내 소비자는 품질과 서비스에 대한 기준도 높아 글로벌 IT 강국 대한민국에서 통하면 세계 시장에서도 통한다는 이야기가 글로벌 브랜드 사이에서 공식처럼 전해지고 있다"며 언팩 장소를 한국으로 정한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