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지점 수 1년 새 40곳 더 줄었다…노인·비수도권 소외 커져

증권사들의 국내 오프라인 지점 수가 최근 1년 새 또 40곳가량 추가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식 거래 등 비대면으로 가능한 증권사 업무가 점점 늘어나면서 지점들을 거점·대형화한 데 따른 현상이지만, 이 과정에서 노인층과 비수도권 지역 투자자의 소외현상은 불가피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오늘(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영업보고서상에 명시한 올해 1분기 말 기준 국내 지점 수는 798곳으로 1년 전(835개)보다 37곳 줄어들었습니다.

지점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삼성증권으로 43곳에서 29곳으로 14개 줄었습니다.

신한투자증권과 유안타증권은 각각 5곳을 줄였고, 한화투자증권과 교보증권도 4곳씩, 그밖에 한국투자증권(3개), NH투자증권(2개), 대신증권(2개), IBK투자증권(2개)도 지점 수를 축소했습니다.

증권사 국내 지점 수는 5년 전인 2018년에 처음 1천곳 밑으로 떨어진 뒤 줄곧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투자자들이 지점에 방문할 필요성이 작아진 점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예전에는 지점에서 시세도 보고 상담도 받았지만, 이제는 모바일로 확인할 수 있고 유튜브 등으로 주식 정보를 접하고 있다"면서 "현재 운영 중인 지점에도 하루 방문 고객이 10명 안팎에 그친다"고 말했습니다.

또 과거 브로커리지(주식위탁매매) 수익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증권사 사업구조도 다변화해 굳이 임대료 등 운영 비용을 써가며 지점을 여러 곳 운영할 필요가 적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증권사들은 인근 지점들을 통합해 대형·거점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증권사 지점 축소가 수익성 강화를 위한 경영전략이더라도 이 과정에서 노인층과 비수도권 투자자들의 소외가 심해진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비록 은행만큼은 아니더라도 포용적 금융의 책임에서 증권사들도 예외가 될 수는 없다"며 "비대면 금융거래에 익숙지 않은 노인들로서는 예·적금보다 수익률이 높은 금융상품에 관심이 있어도 지점 축소로 주식투자 접근성이 약해져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이정호 기자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