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가 2년 새 1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중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창작자들의 연평균 수입은 7억 원이 넘었습니다.
오늘(7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1인 미디어 창작자 수입금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3만 4천219명이었습니다.
이는 2019년과 비교하면 12.3배로 늘어난 숫자입니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유튜버·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인터넷과 모바일 기반의 미디어 환경에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공유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자를 말합니다.
2021년 기준 수입을 신고한 1인 미디어 창작자 수는 변호사, 세무사, 건축사, 법무사 등보다 많았습니다.
이들 가운데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342명의 연간 수입은 1인당 평균 7억 1천300만 원이었습니다.
이는 2019년 상위 1%의 연평균 수입보다 6.3% 늘어난 금액입니다.
상위 1%의 총수입은 2천439억 원으로 1인 미디어 창작자 전체 수입의 28%를 차지했습니다.
수입 하위 50%의 연평균 수입은 40만원으로 2019년보다 줄어 상위 1%와 하위 50%의 격차가 확대됐습니다.
수입을 신고한 유튜버 등의 숫자가 늘어나 평균 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양경숙 의원은 이들이 화면에 계좌번호를 공개해 후원받거나, 뒷광고를 명목으로 돈을 받는 등 '과세 사각지대'를 이용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의 수입 금액이 더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양 의원은 "매년 탈세를 하는 유튜버들이 다수 적발되고 있다"며 "과세당국은 탈세 혐의자들을 엄중하게 검증해 공정 과세 구현 및 세입예산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