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로 입양되는 아이의 90% 이상이 3세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외 입양의 경우 3세 미만이 약 97%를 차지해 영유아 쏠림 현상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최근 5년간 통계에 따르면 국내 입양 중 3세 미만 영유아 입양 사례는 2017년 93.5%, 2018년 89.2%, 2019년 92.8%, 2020년 91.2%, 2021년 89.4%로 연평균 91.2%를 차지했습니다.

이중 생후 3개월∼1년 미만 아동의 입양 사례는 2017년 60.4%, 2018년 65.1%, 2019년 69.8%, 2020년 60.4%, 2021년 53.6%로 가장 비중이 컸습니다.

해외 입양의 경우 영유아 편중 현상이 더욱 뚜렷했습니다.

해외 입양 중 1∼3세 미만 입양 사례는 2017년 96.0%, 2018년 97.0%, 2019년 95.6%, 2020년 97.0%, 2021년 97.9%로 연평균 96.7%입니다.

해외 입양의 경우 1세 미만 영아가 입양된 사례는 없었습니다.

이는 아동이 입양기관에 입소한 날로부터 5개월간 국내 입양을 우선 추진하도록 하는 '국내입양우선추진제' 등의 절차 때문입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