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여성 취업자가 1년 전보다 11만 명 늘고 남성 취업자는 8만 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 취업자 비중이 높은 제조업·건설업 고용이 부진했던 반면 여성 취업자 비중이 높은 보건복지업 고용은 성장세를 지속하면서입니다.

만혼·비혼, 저출산 등으로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각각 사상 최고를 기록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3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2만4천명 증가했습니다.

30대 여성 취업자가 10만 8천명 늘고 30대 남성 취업자는 8만 4천명 감소했습니다.

30대 여성 취업자는 2021년 12월부터 16개월 연속 증가세인 반면, 30대 남성 취업자는 작년 2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세입니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요양보호사·간호사 등 여성 비중이 큰 보건복지업 취업자가 늘고 남성 비중이 큰 건설업과 제조업은 취업자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며 "혼인 및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도 예년보다 훨씬 높은 상태"라고 설명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