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전망] 5월 국내 증시 불투명…고점 부담 속 기간조정 가능성

오늘(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4일 2,500.94로 지난 달 28일(2,501.53)과 비슷한 수준으로 마쳤습니다.

코스닥지수도 지난 달 28일 842.83에서 지난 4일 845.06으로 정체 양상을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이 국내외 부정적인 소식에 민감해진 데다, 어린이날 휴일 등으로 한주 거래일이 사흘에 그치면서 수급 규모가 크지 않았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선 외국인이 2천930억 원가량 순매수했으나 개인은 207억 원 매수 우위에 그쳤습니다.

코스닥시장에선 개인이 3천억 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외국인은 1천530억 원가량 순매도했습니다.

기관투자가는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각각 3천억 원과 1천330억 원 순매도했습니다.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지난 3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에 대한 실망감이 컸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연준은 FOMC 정례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으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은 다소 매파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또 미국 기준금리가 연 5.00∼5.25%로 오르면서 우리나라와의 금리 차이가 최고 1.75% 포인트로 역대 최대로 벌어졌습니다.

다만 시장은 연준이 오는 6월부터 금리를 올리지 않을 가능성이 큰 데다, 국내 시장에서 환율과 외국인 자금 동향에 큰 변화가 없으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이달 25일까지 세 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어닝시즌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간 상황에서 주요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수준으로 분석되지만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크지 않습니다.

NH투자증권은 실적 전망치가 있는 코스피200 기업 중에서 시가총액 기준 76%가 1분기 실적을 공개했다며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의 113% 수준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달 들어 증시가 전반적으로 지수 고점 인식 속에 미국 통화정책과 은행권 위험, 국내 경기 우려와 주가조작 의혹 등과 같은 악재에 민감한 흐름을 보인다며 보수적으로 전망했습니다.

[ 구민정 기자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