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미국 CPI 등 불확실성 여전. 경계태세 늦추지 말아야"


【 앵커멘트 】
한국은행이 다섯차례 연속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기준금리는 10년만에 3%대에 도달했습니다.
본격적인 금리인상기에 돌입한 가운데, 중산층이 받는 충격이 더욱 크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도국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봅니다.
이정호 기자!

【 기자 】
네, 보도국입니다.

【 앵커멘트 】
최근 5년 사이 중산층 이상 가구의 금융부채가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났다고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중산층 이상의 고소득 가구의 금융부채가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소득 4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2017년 113.1%에서 지난해 143%로 30%포인트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이는 소득분위 다섯 개 구간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상위 20%에 해당하는 소득 5분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같은 기간 19.1%포인트 증가했고, 3분위는 13.3%포인트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2분위는 9.6%p 상승하는 데 그쳤고, 소득 하위 20%인 1분위는 같은 기간 오히려 8.5%p 하락했습니다.

소득 기준으로 중산층 이상 고소득층에 해당하는 3~5분위의 금융부채 비율이 더 큰 폭으로 상승한 겁니다.

이는 2017년 말부터 이어진 저금리 흐름에, 부동산, 가상화폐, 빚투 열풍이 일면서 중산층 이상이 빚을 내서 적극적인 투자에 나섰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1년간 전세계적인 금리인상 흐름이 이어짐에 따라 이들의 이자부담도 급격하게 늘어나게 됐습니다.

빚을 내어 투자한, 이른바 '빚투'의 후유증이 이제 통계에도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금리가 급상승하며 시장이 혼란스러워지자 금융당국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예대금리차 공시를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말하는 '예대금리차'의 투명한 공시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주요공약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금융감독원은 해당 내용을 담은 은행업 감독업무 시행 세칙을 이달 말께 시행할 예정입니다.

【 앵커멘트 】
오늘 밤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는데, 정부도 이 상황을 국내 서민경제와 연결지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요?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오늘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오늘 밤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와 11월 FOMC의 금리 결정 등 해외발 불확실성이 여전해 경계 태세를 늦출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금리 인상에 따른 취약차주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맞춤형 금융지원 방안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기준금리의 상승에 따라 예금금리도 따라 오르면서 지난달 은행권 정기예금에 많은 자금이 몰려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동향'에 따르면 올해 9월말 기준으로 은행권 정기예금에 몰려든 돈은 무려 32조 5천억원으로, 이는 2002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한달 기준으로 역대 최대 증가 폭입니다.

전세계적인 긴축기조는 우리 증권시장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이 회수해간 금액은 약 2조3천600억 원 규모입니다.

한국은행은 "주요국 긴축 강화 우려, 유럽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의 영향으로 순유출로 전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lee.jeongho@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