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동반성장위원회가 선정하는 '2021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1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습니다.
해마다 적지 않은 기업들이 최우수 등급을 받지만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도입된 2011년부터 11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은
삼성전자가 유일합니다.
작년에는 3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취득한 기업에게 부여하는 '최우수 명예기업'에도 선정된 바 있습니다.
동반성장지수는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기업별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하여 계량화한 지표로서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등 5개 등급으로 나눕니다.
삼성전자는 2005년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회사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거래대금 지급 문화 개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017년 1·2차 협력회사간 거래대금 지원용 물대지원펀드(5천억원), 2018년 3차 협력회사 전용 물대지원펀드(3천억원)를 조성해 협력회사간 거래대금이 30일 이내에 현금으로 지급될 수 있도록 무이자로 대출해줍니다.
아울러 원자재 가격뿐 아니라 최저임금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10년부터 1조4천억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해 협력회사의 기술개발·설비투자 자금 등을 저금리로 대출해 주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협력회사의 안전사고 예방, 품질 향상 등을 위해 2010년부터 5천여 억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다년간 축적된
삼성전자의 원가 혁신 사례를 협력회사에 전수해 비효율 개선, 비용 절감을 통한 원가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협력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 발굴 지원을 위해 2009년부터 국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소개하는 기술설명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보유한 특허를 미거래 중소기업까지 개방하여 올해 8월까지 약 1천900여 건을 무상 양도했습니다.
2013년부터는 중기부와 함께 '공동투자형기술개발사업'에 기금을 출연, 약 200억원을 지원했고, 올해도 신규 펀드 300억원을 추가 조성하여 5년간 차세대 기술과 E
SG 기술 확보 등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협력회사와의 동반성장도 꾀하고 있습니다.
2013년 설립한 '상생협력아카데미'는 협력회사 혁신을 지원하는 '컨설팅 센터', 혁신·직무·기술·리더십 등의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교육 센터', 인재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협력회사 인재 채용을 지원하는 '청년일자리 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입사원 입문교육 ▲미래경영자 ▲제조/품질/구매/마케팅 직무교육 등 삼성 임직원 교육과정에 준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협력회사 임직원 16만명에게 실시했고, ▲삼성 협력회사 채용박람회 ▲협력회사 온라인 채용관 등을 통해 4천500여명의 인재 채용을 지원했습니다.
특히 올 하반기부터는 그동안 별도 실행되던 컨설팅/교육/채용 지원 활동을 한꺼번에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협력회사 맞춤형 종합 컨설팅'으로 발전시켜 시범 운영 중입니다.
스마트공장 구축 등 제조혁신 지원 분야에서도 성과가 두드러졌습니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열악한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고, 2018년부터는 중기부/중기중앙회와 협력하여 수십년 제조/품질 노하우를 보유한 삼성의 전문가 200여명을 현장에 투입해 제조현장 혁신, 인력양성, 사후 관리 등을 종합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중기부는 2022년까지 매년 각각 100억원씩 총 1천억원을 투입하고, 삼성은 여기에 100억원을 추가 투입해 국내외 바이어 발굴 등 판로지원, 글로벌 홍보,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중기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이 도입하지 않은 중소기업보다 영업이익 37.6%p, 매출액 11.4%p, 종업원수 3.2%p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삼성은 또 '함께가요 미래로! Enabling People'이라는
CSR 비전 아래 청소년 교육 중심의 사회공헌 활동과 상생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청소년 교육 중심 활동으로는 ▲삼성청년SW아카데미 ▲삼성 드림클래스 ▲삼성 주니어 SW 아카데미 ▲삼성 스마트스쿨과 같이 청소년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