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 통합지원체계 마련한다…"필요 시 민간 투자유치도 지원"

반환된 의정부 캠프 레드클라우드 (사진=연합뉴스 제공)
[수원=매일경제TV] 경기도는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에 대한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정책협의추진단' 구성 등 통합지원체계를 마련한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정책협의추진단 반환 공여지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며 실효성 높은 대안과 정책 방향을 찾고,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시·군에 행정·재정적 컨설팅을 지원합니다.

추진단에는 도와 해당 시·군, 경기연구원, 경기주택도시공사, 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합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앞서 '미군 반환 공여지의 국가 주도 개발추진과 주변 지역 지원 확대'를 공약으로 내건 바 있습니다.

도는 중앙정부와 시·군에 의존해 왔던 기존 반환 공여지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광역지자체인 경기도가 정부-시·군 간 가교 역할을 해 사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구상입니다.

또 필요할 경우 반환 공여지 개발을 위한 민간 투자유치를 지원하고 민간투자 여건 개선을 위해 중앙부처 및 시군과 소통·공조하며 관련 법·제도 개정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반환 공여지 개발 정책에 대한 관심과 호응도를 높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 소통과 홍보 공간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경기도내 반환 대상 미군 공여지는 총 34곳 173㎢(5218만평) 규모로 서울 면적(605.24㎢)의 29%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군사용과 산악지역 등 활용이 어려운 지역을 빼면 실제 활용 가능한 곳은 22개소 72㎢이며, 현재 반환이 완료된 곳은 18곳입니다.

현재 개발이 완료된 곳은 의정부 을지대병원 '에세이욘캠프'와 광역행정타운 '시어즈캠프', 화성 평화생태공원 '쿠니캠프', 동두천 동양대 북서울캠 '캐슬캠프' 등 4곳이며 나머지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준비 단계에 있습니다.

아직 반환이 이뤄지지 않은 곳은 동두천 케이시·호비·모빌, 의정부 스탠리 등 4개소로 면적은 19.7㎢입니다.

해당 지역은 위치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돼 향후 개발이 이뤄질 경우 일자리 창출, 인구 유입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거라는 게 경기도의 설명입니다.

인치권 경기도 군관협력담당관은 "정부는 주한미군 반환 공여지와 주변 지역 환경을 자세히 알기 어렵고, 해당 시·군은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만큼 경기도가 중간자 역할을 한다면 개발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한웅희 기자 / mkhlight@mkmoney.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