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푸틴과 시진핑/ 연합뉴스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15~16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열리는 SCO(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우즈베키스탄 매체에 기고한 글에서 SCO 운명공동체 구축을 언급했습니다.
기고한 글에 시 주석은 사마르칸트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원하며 "더 긴밀한 SCO 운명공동체를 구축하고, 지역의 평화·안정·발전·번영을 촉진하기 위해 더 큰 공헌을 할 것으로 믿는다"고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이번 정상회의는 시 주석이 32개월 만에 복귀하는 국제 외교무대이자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처음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는 자리입니다.
SCO는 2001년 중국과 러시아 주도하에 출범해 카자흐스탄, 카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등 8개 정회원국으로 구성된 정치·경제·안보 협의체입니다.
세계 인구의 41%,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4%를 차지하며 사실상 최대 반미국가인 이란도 이미 정회원국 가입 절차를 마무리한 상태입니다.
인도가 참여하고 있어 SCO를 모두 '반미 진영'으로 규정하긴 어렵지만, SCO 정상회의를 해외 정상외교 복귀 무대로 택한 시 주석의 의중은 미국에 맞서기 위함이 분명해 보입니다.
정상회의 첫날인 15일에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만날 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속에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미국과 유럽에 맞선 전략적 협력 강화를 논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시 주석이 선방과의 관계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만들지 않기 위해 러시아에 대한 군사 지원은 따로 언급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아울러 외교가는 이번 회담에서 최근 핵무기 사용 원칙 등을 법제화하며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북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가 오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 민수정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