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최근 창업절차가 간편하고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는 무인점포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비대면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소비자들도 많이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에 취약하고 절도 사건이 발생하면서 점주들이 피해를 호소하기도 하는데요.
이를 해결할 뾰족한 방법이 없어 문제입니다.
임성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원하는 제품을 골라 셀프 계산대에 바코드를 찍고 계산도 직접하는 무인점포.

주택가 인근에 위치해 간단한 음식부터 밀키트, 생필품까지 편리하게 대면접촉 없이 구매할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런데 편리함을 갖춘 무인점포의 이면에는 절도 사각지대라는 오명이 늘 따라다닙니다.

▶ 스탠딩 : 임성준 / 기자
- "점포 내부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들로 24시간 실시간 감시가 이뤄지고 있지만 이것만 의존해 절도를 막아내기에는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점주 대부분은 본업이 따로 있고, 무인점포는 부업 개념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계속 감시를 할 수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개별 사업자를 위해 지자체나 경찰의 지원을 늘릴 수도 없습니다.

▶ 인터뷰 : 무인점포 점주
- "저도 신고를 몇 차례 해봤는데, CCTV에 신원이 나오는 경우에는 잡을 수 있는데 그 외에는 거의 다 포기 상태거든요. 적극적인 수사를 해줬으면 좋겠고…."

국회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5개월 동안 무인점포에서 발생한 절도사건은 무려 6천344건에 달했습니다.

서울이 1천543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남부 1천354건, 부산 480건, 대전이 437건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사업자등록만 하면 점포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지자체 신고 의무가 없어 점포 수에 대한 현황파악도 어렵습니다.

또 단순절도는 신고조차 이뤄지지 않아, 절도 건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인터뷰 : 무인점포 점주
- "절도해가는 분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게, 사람이 악하게 마음먹으면 신고하고 잡으려면 충분히 잡는데도 봐주는 이유는 그 사람들 절도 전과자 만들기 싫어서 안 하는 거뿐이거든요, 못하는 게 아니라…."

무인점포는 제품 하나 당 이윤을 최대로 줄이고,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판매해 이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 절도 한 건은 업주에게 큰 피해로 돌아옵니다.

지자체도, 경찰도 손 쓸 수 없는 무인점포 절도 행위는 결국 대책 마련보다는 개인의 양심에 맡겨야 하는 상황.

절도 피해가 계속 되면서 불안한 점주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임성준입니다.[mklsj@mkmoney.kr]

영상 : 임재백 기자[mkmookhi@mkmoney.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