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이 고령자에게만 위험하다는 것은 옛말이 됐습니다.
특히 MZ세대라 불리는 2030세대에서 갑상선암이 위협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화생명이 지난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암 보험금 지급 300만 건을 빅데이터로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암 발병 고객수와 지급 보험금 규모는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코로나로 2019년과 2021년 기간 증가폭이 주춤했으나 최근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암 보험금 지급 고객수는 2010년 3만4천 명에서 2021년 5만6천 명으로 62%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암 보험금 지급금액도 55% 증가해 8천700억 원 수준까지 커졌습니다.
한화생명이 지난해 지급한 암 보험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암은 유방암이었습니다.
상위 10개 암을 분석한 결과 유방암은 26%로 발병순위가 가장 높았고, 갑성선암(22%)과 대장암(10%), 위암(10%), 폐암(9%), 간암(7%)이 뒤를 이었습니다.
기존 국가암등록통계의 암 발생순위에서는 갑상선암,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순과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는 보험 가입고객의 주 연령대가 40~50대 여성고객이기 때문인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실제 유방암의 보험금 지급건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화생명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유방암의 보험금 지급건수는 2.1배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고령층 남성에게서는 전립선암의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거 60대 남성의 전립선암 발병률은 2011년 231명이었으나 2021년에는 904명으로 약 4배 증가했고, 같은 기간 70대 이상의 발병률은 66명에서 533명으로 8배 증가했습니다.
또 2030세대 젊은 남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암으로는 대장암이 꼽혔습니다.
대장암의 보험금 지급건수는 발병빈도가 높지 않지만, 지난 10년간 2.2배 증가했습니다.
2030 남성의 암 발병빈도가 평균 1.2배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큰 폭의 증가세입니다.
이는 젊은 남성들의 식단이 서양식으로 바뀌고 암 조기 발견이 가능해진 의료시스템 덕분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남녀를 불문하고 MZ세대인 2030 보험가입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습니다.
2030세대에서 갑상선암은 다른 암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여성은 상위 10개 암 중 47%가 갑상선암이었습니다.
갑상선암은 조기 발견이 쉬운 암으로 치료가 비교적 쉽고 완치율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중요합니다.
전경원
한화생명 DA팀장은 "시대에 따라 발병 질환들은 조금씩 변화한다"며 "이번 분석으로 불과 10년간이지만 암 발병의 트렌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 김용갑 기자 / gap@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