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소득자 상위 0.1%의 연평균 근로소득이 전체의 중간에 위치한 중위소득자의 28.8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 격차는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늘(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2020년 귀속 근로소득 1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근로소득자 상위 0.1%(1만9천495명)의 1인당 연평균 급여소득은 8억3천339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중위 소득자의 연평균 소득 2천895만원의 28.8배에 달합니다.
1년 전인 2019년 기준 27.2배에서 격차는 더욱 확대됐습니다.
2019년 당시 상위 0.1%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은 7억6천763만 원으로 1년 새 8.6% 늘었지만, 중위 소득자의 연평균 근로소득은 2천824만원으로 2.5% 느는 데 그쳤습니다.
상위 1%를 기준으로 삼아도 중위 소득자 대비 2019년 9.6배에서 2020년 9.9배로 연 근로소득 격차가 더욱 확대됐습니다.
근로소득자 상위 10%의 급여소득은 2019년 1억1천652만 원에서 2020년 1억1천992만 원으로 2.9% 증가했습니다.
전체 근로소득자의 평균 연 소득은 2019년 3천743만 원에서 2020년 3천828만 원으로 2.3% 늘었다.
하위 20%의 경우 2019년 622만 원에서 2020년 614만 원으로 오히려 소득이 감소했습니다.
강 의원은 "최상위층으로 소득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해야 하고 이를 위해 정부의 조세·재정정책이 저소득 근로자의 소득을 증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집중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