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2번째 원숭이두창 감염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오늘(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일 오후 전신증상 및 피부병변이 있는 원숭이두창 의사환자가 신고돼 유전자 검사결과 최종 양성임이 확인됐습니다.
지난 6월 중순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이후 2개월여 만입니다.
두번째 확진자는 유럽 방문 후 지난달 18일 입국(당시 무증상)한 내국인으로 귀국 열흘 뒤인 같은달 28일 발열, 두통, 어지러움을 시작으로 증상이 발현됐고 30일 국소 통증이 있어 서울의 한 병원을 방문했습니다.
이후 지난 1일 본인이 직접 보건소로 문의해 인지됐고, 이후 서울시 역학조사관이 의사환자로 분류해 유전자검사를 진행했습니다.
방대본은 이날 환자를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송, 경과를 모니터링하고 접촉자 추가 파악을 위해 심층 역학조사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확진자의 전염 가능 기간의 동선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확인되는 접촉자에 대해서는 노출 수준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 관리할 예정입니다.
특히 중위험 이상 접촉자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 의향을 파악해 희망에 따라 접종도 진행합니다.
질병관리청은 확진자는 원숭이두창 백신 접종 이력은 없고 현재 입원 중이며, 경증으로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입국과정에서 의심 신고를 했던 첫번째 확진자와 달리 이번 확진자는 무증상으로 입국 후 약 열흘간 일상생활을 한 만큼 접촉자 수가 더 많을 수 있고 밀접접촉자도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첫번째 확진자 발생 이후 원숭이두창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17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진단검사를 할 수 있도록 조치했습니다.
또 원숭이두창 백신인 지네오스 5천명분을 도입, 필수 의료진에 대한 접종을 완료했으며 치료제인 테코미리마트 504명분을 확보해 전국 지정 의료기관에 배포해 필요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질병청은 "원숭이두창은 현 방역대응 역량으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며 "조기발견과 지역사회 확산 차단을 위해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