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을 거쳐 해외로 송금된 불분명한 자금이 당초 발표를 초과해 34억 달러(4조5천300억 원)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돼 '거액 이상 외환 거래' 파문이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금액의 상당액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은행을 거쳐 송금돼 국내 가상화폐 시세가 해외보다 비싸게 형성되는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차익거래와 연관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은행과 신한은행뿐만 아니라 하나은행 등이 자체 점검을 통해 대규모 이상 해외 송금을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뒤 시중 은행에 대한 검사가 확대돼 무더기 제재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오늘(28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감원은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으로부터 지난 6월 말에 거액의 이상 해외 송금 사실을 보고 받고 현장 검사에 착수해 각각 13억1천만 달러(1조7천억 원)와 20억6천만 달러(2조7천억 원) 등 총 33억7천만 달러(4조4천900억 원)의 문제 거래를 찾아냈습니다.

이후 추가 검사에서 2천만 달러(260억 원)를 추가로 적발해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에서만 이상 해외 송금액이 33억9천만 달러(4조5천200억 원)으로 늘었습니다.

아울러 금감원은 지난달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신설·영세업체의 대규모 송금 거래, 가상자산 관련 송금 거래 등에 해당하는 20억 달러(2조6천600억 원) 규모의 거래에 대해 자체적으로 조사해 보고할 것을 지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검사와 별도로 금감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자율 점검을 통해 추가 이상 해외 송금을 발견해 금감원에 보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국 지난 19일 종료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검사를 통해 밝혀진 이상 해외 송금액 33억9천만 달러와 자율 점검으로 추가 보고된 액수까지 합치면 34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이상 해외 송금 검사 말고 이들 은행의 자율 점검에서도 이상 해외 송금이 더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전체 액수로 보면 이들 은행의 이상 해외 송금은 기존보다 더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자율 점검을 통한 추가액은 이달 초까지 제출했던 모든 은행의 의심 거래 액수 31억5천만 달러(4조1천억 원)에 포함됐던 것이라 국내 은행의 이상 해외 송금 총액은 65억4천만 달러(8조5천억 원)로 변동은 없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