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지난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성장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셀트리온은 22일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2020년 연결 기준 매출액 1조8천491억 원, 영업이익 7천12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63.9%, 영업이익은 88.4%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38.5%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매출액 4천987억 원, 영업이익 1천647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30.3%, 영업익은 44.3% 증가했습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확대로 공급량이 늘어난 것과 제1공장 증설 시설의 생산 효율성이 개선돼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력 제품군의 경우 유럽시장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52.8%, 혈액암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 38%, 유방암·위암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15.9%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미국시장의 경우 지난해 4분기 기준 램시마의 미국 수출 제품인 인플렉트라는 11.8%, 트룩시마는 19.8%로 두 제품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했습니다.
셀트리온은 올해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과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 글로벌 허가 확대, 제3공장 신설을 통한 생산량 증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셀트리온은 올해 2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유플라이마(CT-P17)'를 판매 승인받았습니다.
또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CT-P16(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39(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41(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등 후속 바이오시밀러를 개발 중으로, 2030년까지 매년 1개 이상의 제품을 허가 받겠다는 목표입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글로벌 공급 노력과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유플라이마(CT-P17) 등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신규 공급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글로벌 생명공학기업으로 지속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