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국민 70% 접종 땐 코로나 전파력 2 이상에도 대응 가능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오는 26일 개시되는 가운데 정부는 전 국민의 70% 이상이 접종할 경우 감염 재생산지수가 2를 넘어서더라도 면역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부는 다만 집단면역 달성의 3대 변수로 접종률, 백신공급 상황과 더불어 항체 형성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외유입 변이 바이러스를 꼽으면서 이들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여지를 뒀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늘(22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정부가 11월 목표로 제시한 집단면역 형성의 판단 기준을 묻는 질의에 "집단면역에 대해서는 아직 어느 정도의 항체 양성률을 유지해야 집단면역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다"고 전제하면서 "처음에 70% 접종률을 얘기했을 때는 재생산지수 2를 포함했을 때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일단 판단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정 본부장은 "최근 들어 변이 바이러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백신의 효능에 대한 수치 변동이 가능하다"며 "18세 이상의 청소년들에 대한 접종 여부에 대한 것도 임상시험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감안해서 접종률과 집단면역 달성 수치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검토와 모니터링, 조정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특히 "목표로 세운 백신 접종률을 달성할 수 있는지가 가장 큰 요인"이라며 "백신을 제때 확보해 공급받을 수 있는지, 또 (향후) 변이 바이러스가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 등이 중요 변수고 위험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단은 11월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들 '변수'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을 열어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정부는 9월까지 전 국민 70%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치고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정 본부장은 "집단면역 형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까지 항체 양성률이 있어야 (면역 형성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목표치, 재생산지수 등이 고려돼야 기준 자체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라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계속 목표치에 대한 것은 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