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도기술 국제인증 지난해 6건 취득 글로벌시장 경쟁력 확보

국토부 취득지원사업 성과…'선로변 제어장치 기술' 최고등급 등 쾌거


[세종=매일경제TV] 지난해 국내 철도기술 6건이 국제 인증을 취득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18년부터 '철도용품 국제인증 취득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철도기술의 국제인증 취득을 지원해 온 결과, 2020년 한 해 동안 총 6건의 국내 철도기술이 국제인증을 취득해 세계 철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최근 국내 철도기술이 동력분산형 차량(EMU) 도입, 한국형 신호시스템 개발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시에는 국제안전성 인증(SIL, Safety Integrity Level) 등 국제인증 취득이 기술 진입장벽으로 작용해 해외진출에 어려움이 따랐습니다.

특히 영세한 철도업체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국제인증을 취득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우리나라가 수주한 해외 사업에서 국산기술을 사용하지 못하고 외산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한계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2017년 자카르타 LRT 1단계 시공에 우리기업이 참여하고 있었음에도 국내 기술의 국제인증 미비로 국산품보다 비싼 외산품을 수입 적용했습니다.

이에 국토부에서는 2018년부터 국내 유망 철도기술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해외 발주처가 요구하는 철도 관련 국제인증 취득에 소요되는 비용을 건당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하고, 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국제인증 취득 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해외 입출국 및 인증절차 진행에 어려움이 많았던 한 해였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총 6건의 국내 철도기술이 국토부 지원사업을 토대로 국제 안전성 규격 최고등급(SIL 4)를 포함한 국제인증 취득에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국제인증 사례를 살펴보면, 2월 국산 선로변 제어장치 기술(LEU)이 국제안전성 규격 최고등급을 취득(SIL4, 신우이엔지)한 것을 시작으로, 4월 차축검지장치 기술이 국내 기술 중 최초로 국제안전성 규격 최고 등급을 취득(SIL4, 대아티아이)했습니다.

이어 8월 프랑스 방브 말라코프역 시범사업을 수주한 상하개폐형 스크린도어 기술이 발주처가 요구하는 국제안전성 규격 최고 등급을 취득(SIL4 SA, 에스트래픽)했으며, 9월 국내 철도기업(씨에스아이엔테크)이 철도신호·안전용품 제작 및 품질관리 역량에 관한 국제철도산업규격 인증(IRIS)을 획득했습니다.

또한 12월 무정전 비상방송 시스템(SIL2, 우진산전), 승강장 안전발판(SIL3, 씨디에이) 국내기술이 연이어 해외 시장이 요구하는 수준의 국제안전성 규격을 취득해 향후 워싱턴 메트로, 브라질 트램 등 해외진출 가능성이 열리게 됐습니다.

국토부 김선태 철도국장은 “철도 분야 국제인증은 취득하기 위해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안전성과 신뢰성이 특히 중요시되는 철도시장에서 중장기적으로 국제인증의 취득은 필수적”이라며 “2018년부터 추진해 온 국제인증 취득지원 사업이 작년 한 해 괄목할만한 성과로 이어진 만큼, 앞으로도 국내 기업의 국제인증 취득을 지속 지원하여 국내 철도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경재 기자 / mkkdc@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