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세계 최초로 얇은 필름처럼 유연하게 휘어지는 HLED 개발에 성종했습니다.

램프에서 빛을 내는 LED면의 두께를 5.5mm까지 줄여 하나의 LED로 정지등과 후미등을 동시에 구현하게 됐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약 2년여 만에 이 같은 리어램프 광학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주요 기술은 국내외 특허 출원을 진행 중입니다.

HLED는 구부리거나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밝고 균일한 정지등 기능을 구현하고 램프의 전면, 측면 등 5가지 방향으로 동시에 빛을 내보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리어램프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후측면 접근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줍니다.

해당 기술을 활용하면 매우 얇은 선을 겹쳐 독특한 램프 형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후미등과 정지등에서 생동감 있는 애니메이션 효과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현재 양산되는 대부분 차량에서 후미등과 정지등은 별도 광원과 기구부를 통해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리어램프 안전법규에 따라 정지등은 후미등보다 훨씬 밝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대모비스가 새롭게 개발한 HLED는 하나의 LED에서 전기 신호에 의한 빛(광량) 조절만으로 후미등과 정지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발열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마이크로 LED 칩을 사용해 전기 신호로 후미등과 정지등의 LED 빛을 한 번에 조절하는 기술도 적용했습니다.

이 신기술을 통해 현대모비스는 리어램프 경량화와 소형화, 에너지 효율 향상을 동시에 달성했습니다.

신개념 LED만으로 빛 조절이 되기 때문에 기존 리어램프에서 광량 확보를 위해 필요했던 내부 부품을 모두 없애 기존 대비 부피를 40% 가까이 줄였습니다.

줄어든 공간만큼 트렁크 적재 용량을 확보하는 장점도 있습니다.

후미등과 정지등 관련 유럽(ECE)과 미국(SAE)의 램프 법규와 신뢰성 테스트도 통과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주를 이어나갈 방침입니다.

현재 유럽 완성차 업체의 수주를 받아 HLED 양산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흥섭 현대모비스 램프BU 전무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전동화와 자율주행으로 대표되는 미래자동차 맞춤형 램프 기술을 선보이겠다"고 말했습니다.

[ 진현진 기자 / 2jin@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