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가 이사회 내 '투명경영위원회'를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고 위원회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과 활동을 심의·의결하기로 하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18일 주주총회 소집 공시에서 기존 '투명경영위원회'를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개편하는 내용의 정관 변경 안건을 상정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새롭게 개편되는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 ESG 관련 의사결정 권한을 추가해 ESG 경영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도 조만간 이사회를 거쳐 이와 같은 취지로 정관을 변경하는 주총 안건을 확정하고 공시할 계획입니다.

현대차 등 3사는 각각 지난 2015년 이후 내부거래 투명성 확보, 주주권익 보호 등을 위해 이사회 내에 사외이사로만 구성된 '투명경영위원회'를 신설했습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기존 '투명경영위원회' 역할에 더해 ESG 분야로 안건 논의 범위를 넓혀 회사의 EGS 정책·계획, 주요 활동 등을 심의, 의결하는 권한을 추가로 갖게 됩니다.

ESG 심의·의결 기능의 연장선상에서 회사의 안전보건 계획 등에 대한 검토 권한도 갖게 됩니다.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올해부터 매년 안전보건계획을 수립해 이사회에 보고하고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지속가능경영위원회가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게 됩니다.

이사회 승인 과정에서 산업안전에 대한 보다 정밀한 의사결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향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ESG 경영의 실질적 콘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전망입니다.

최근 현대차는 4천억 원 규모의 ESG 채권을 발행했으며, 기아 또한 ESG 채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ESG 채권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전기차·수소전기차 제품 개발 투자와 신규 친환경차 개발과 판매 등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현대차와 기아, 모비스는 ESG 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지난해 10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발표한 주요 기업별 ESG 등급 평가에서 현대차 등 3사는 모두 A등급을 획득한 것.

현대차와 기아는 전년 B+등급에서 A등급으로 한단계 상향 조정됐으며, 현대모비스는 전년과 동일한 A등급을 유지했습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모든 임직원들이 다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진현진 기자 / 2jin@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