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공매도 폐지 홍보 버스가 지난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을 지나가고 있다. |
최근 7년간 국내외 증권사들이 공매도 수수료로 얻은 수입이 3천500억 원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외 56개 증권사가 공매도를 중개해주는 대가로 얻은 수수료는 총 3천541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14년 414억 원, 2015년 667억 원, 2016년 600억 원, 2017년 608억 원, 2018년 711억 원 그리고 2019년 446억 원 등 매년 400억∼700억 원대의 수수료 수입을 얻었습니다.
공매도가 3월부터 금지된 작년 수수료는 95억6천만 원이었습니다.
지난 7년 동안 가장 많은 수입을 거둔 곳은 크레디트스위스(
CS) 증권 서울지점으로 867억 원의 수입이 발생했습니다.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591억 원), 모건스탠리 서울지점(568억 원), UBS증권 서울지점(488억 원)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삼성증권이 168억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미래에셋대우(95억 원), 신한금융투자(76억 원), NH투자증권(47억 원), 한국투자증권(45억 원), KB증권(16억 원) 등의 순이었습니다.
박용진 의원은 "주식이 하락하는 상황에서도 증권사들은 공매도 수수료로 이익을 본 것이 확인된 것"이라며 "공매도가 유동성을 공급해주는 순기능이 있지만 이를 투명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금융시장의 공정성 확보가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금융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공매도를 거래 직후 감독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신민호 인턴기자 / mino@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