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부장' 분야 유망기업 3개 지원사업 추진…참여기업 모집

올해 신규사업 규모 20억 편성…20개 사 선정 분야별 맞춤형 지원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 제공)

[수원=매일경제TV] 경기도가 올해부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강국 도약을 위한 새로운 지원사업을 펼칩니다.

경기도는 이를 위해 올해 신규사업 규모를 20여억원으로 편성, 사업성과에 따라 예산 규모를 점차 넓혀갈 방침입니다.

신규사업은 ‘소재·부품·장비 기업 육성 지원사업’, ‘대중소기업 기술 교류 지원사업’, ‘소부장 정부사업 참여컨설팅’ 등 3가지로, 현재 참여를 희망하는 도내 기업을 모집 중입니다.

먼저 소재·부품·장비 기업 육성 지원사업은 잠재력 높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는 소부장 분야 기업에게 맞춤형 지원을 실시해 강소기업으로의 도약을 도울 예정입니다.

지원 대상은 2018년 3월 5일 이전부터 소재·부품·장비를 생산·제조·개발하고 있는 도내 기업으로, 성장성, 안전성, 기술성, 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20개사를 선정합니다.

선정된 업체는 시제품 제작, 특허, 인증, 판로개척 등을 7500만 원 범위 내에서 기업 스스로 구성한 계획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제조공정의 디지털화나 로봇 시스템 도입 등 시설투자에 대한 부분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둘째 소부장 기술 국산화 촉진에 목적을 둔 ‘대중소기업 기술 교류 지원사업’은 도내 소부장 관련 중소기업과 대·중견기업들 간 기술 교류·공유할 수 있는 ‘기술교류회’를 추진,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국내 판로를 확보하는 등 동반성장의 토대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은 기술 공급처 역할을 할 도내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 20개사로, 다음 달 중 분과별 교류회를 열어 수요처 역할을 할 대·중견기업과의 매칭을 도울 계획입니다.

특히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이 구매협약을 체결한 과제 등에 대해서는 기술개발 및 상용화 과정에 필요한 비용을 70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 참여 기업들이 실질적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부장 정부사업 참여컨설팅’은 기획역량이 부족한 소부장 중소기업들의 정부공모사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 도입한 사업입니다.

지원 대상은 도내 주사무소 또는 등록공장을 설치·운영 중인 소부장 분야 기업으로, 서류 및 현장평가를 통해 20개사 내외를 선정합니다.

정부시책에 대한 이해의 폭이 깊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을 기업과 1:1로 연결시킨 후, 사업계획서 작성법, 발표 기술 등을 교육할 계획입니다. 기업 상태 진단을 통한 최적 지원 사업에 대한 정보도 제공합니다.

노태종 특화기업지원과장은 “올해는 기술개발에 이어 사업화와 기업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지원을 펼칠 계획”이라며 “극일을 넘어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기술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배수아 기자 / mksualuv@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