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기계학습) 기술이 은행업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국내 5대 은행인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은 애플리케이션(앱) 등 비대면 서비스에 AI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대면 서비스에도 AI 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오늘(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부터 고객을 상대 업무 전반을 AI 기술 기반으로 전환한 '디지털 혁신 점포'를 확대하고자 인프라를 만들고 있습니다.
디지털 혁신 점포에는 은행원 대신 고객의 음성을 분석·이해하고 일상 언어를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은행원'(AI 뱅커)도 필요합니다.
신한은행은 이 서비스 구축을 위해 삼성전자와 협약하고 인공인간 '네온(NEON)'을 선보였습니다.
신한은행은 "네온을 통한 상담이 고도화한다면 전통 영업점 위치를 벗어나 고객 상담형 기기 배치로 효율적인 영업 현장을 만들 수 있다"며 "소형 키오스크를 통해 24시간, 365일, 장소 제한 없는 은행 영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하나은행은 "환전할래", "알아봐 줘" 등 일상어가 학습된 챗봇(채팅+로봇) '하이'(HAI)가 앱에 탑재돼 있습니다.
[ 김예솔 인턴기자 / yesol@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