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지역 일자리 회복 ‘재정지원·기업성장’ 투트랙 추진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수당 지원도 신속 집행
전기차 전환 대비 경주·영천 등 자동차부품클러스터 체질개선


경북도청 전경 (사진=경상북도 제공)
[안동=매일경제TV] 경상북도는 오늘(14일)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지역 일자리 회복을 위해 직접 재정지원과 기업성장 일자리 등 지원사업을 투트랙으로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경북지역 고용률은 지난해 4분기 61.3%로 전년 동기 62.5%보다 하락했고,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138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만3000명 감소했습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두 번째로 큰 감소폭입니다.

이에 도는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을 신속 추진해 고용감소세를 차단하고 자칫 소외될 수 있는 기업지원 일자리 사업을 대폭 확대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성장 동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이달부터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코로나 희망일자리 사업과 ‘청년愛수당’ 등 각종 재정지원 사업도 신속 집행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기업지원 일자리 사업도 확대해 코로나19로 기업들이 자금에 허덕이고 있는 상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는 국가산단과 대기업 이탈, 전자산업 침체로 인해 고용위기를 겪고 있는 김천·구미·칠곡지역을 중심으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이 지역은 전자산업 부진의 지속으로 생산·수출액이 감소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경기침체로 고용시장이 더욱 축소된 상황입니다.

도는 구미의 상생형 일자리·스마트 산단 조성사업, 김천 국가 융복합혁신클러스터, 칠곡 전기 자동차 부품 혁신벨트 등 산업정책과 연계해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고, 일자리 사업을 선제적으로 추진해 지역 고용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전략입니다.

또 자동차 부품 산업이 분포돼 있는 경주, 영천, 경산지역을 중심으로는 ‘지역 혁신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경북은 완성차 업체가 없음에도 국내 최대 규모 자동차 부품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지만 대부분 대기업 하도급에 의존한 영세 중소기업으로 미래차 시대 위기대응 준비는 매우 부족한 상태입니다.

현재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의 핵심부품은 수입 의존도가 높고, 내연자동차 부품 생산업체가 다수인 경북은 향후 수출량 감소가 예상됩니다. 올해부터 이 지역의 일자리 지원사업과 함께 자동차 산업 체질개선도 이뤄집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일자리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경북형 기업수요 공모 패키지 사업’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고 아사 직전에 처한 지역경제와 일자리를 살려내는 게 절체절명의 과제”라며 “올해 재정지원 일자리와 기업성장 일자리 정책을 투트랙으로 추진해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손세준 기자 / mksseju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