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시대, '홈코노미' 수혜주는?

Q. 한샘, 4분기 호실적 요인은?
A. 한국 가구 시장 판매 매출 10조 '사상 최대'
A. 4분기 영업이익 36% 증가한 295억 원
A. B2C 매출 등으로 실적 성장세

Q. 집 트렌드의 변화가 주는 의미는?
A. '집'이 일하고 즐기는 공간으로 역할 변신
A. 인테리어 니즈 높아지며 가정용 가구 매출 증대
A. 부동산 가격 압박이 준 새로운 패러다임
A. 집 크기보다는 인테리어가 트렌드

Q. 리하우스 사업 강화하는 이유는?
A. 리하우스 시장의 꾸준한 성장성
A.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이사 점점 어려워
A. 실거주 중심 정책방향으로 인한 자가 점유 증가 예상
A. 노후 주택에 대한 인테리어·리모델링 수요는 꾸준히 증가
A. 토털 리모델링 패키지 제공하는 차별화 전략

Q. 비대면 소비 증가 수혜는?
A. 옴니 채널 혁신전략으로 온라인 가구 매출 신기록
A. 가구 특성상 과거 온라인보다는 오프라인 매출 지배적
A. 최근 플랫폼 증가로 가구도 비대면 구매 증가
A. VR을 통한 간접적 체험 서비스 제공
A. '내맘배송'·'샘 LIVE' 서비스로 리빙 커머스 플랫폼 도약

Q. 오프라인 매장 확대 이유는?
A. 지난해 53개·2022년 99개까지 늘어날 전망
A. 하반기 삼성전자와 가전·가구 패키지 론칭 예정
A. 기존 오프라인 매장 외 유통 매장 내 입점 고려
A. 시공 확대를 위한 인력 캐파 강화
A. 직시공 패키지 확대 통한 매출 성장

유안타증권 역삼지점 정미란 FA팀장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