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포그래픽: KT 제공] |
서울시가 지난해 12월 23일부터 실시한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 후 인구 이동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전국적 규모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3차
대유행에서는 앞선 두 차례의 코로나 확산에 비해 시민들의 반응속도는 빠르지 않았지만, 방역정책 강화 전에 선제적으로 인구 이동량이 줄어드는 등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KT는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오늘(7일) 공개했습니다.
코로나19 국내 발생 1년째를 맞아 시사점을 발굴하기 위해 KT 디지털&바이오헬스P-TF가 실시한 이번 분석은 KT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지역구별 유동인구 변동 추이, 뉴스와 SNS 등의 '소셜 버즈(buzz, 특정 주제에 대한 언급)량'과 확진자 수 증감 비교로 진행됐습니다.
우선 KT가 분석한 유동인구 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3일에 시행된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가 코로나19 확산세를 꺾는 데 실질적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5인 이상 집합금지가 시행되기 나흘 전부터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오름세로 전환되기 시작했지만, 금지 조치가 발효되고 성탄절 연휴가 시작되면서 이동량이 급격한 내림세로 꺾였으며 이후 확진자 수도 줄어들었습니다.
또 시민들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에 앞서 적극적으로 행동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추이를 살펴보면,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정부의 방역 단계가 강화된 11월 24일 이전부터 이미 서울 내 이동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민들이 확진자 증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발적으로 이동을 줄인 겁니다.
한편 지난해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어진 3차
대유행 시기를 분석한 결과 1, 2차 유행 때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3월 1차 유행, 8월의 2차 유행 때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이동인구의 감소가 즉각적으로 나타났지만, 3차 유행 때는 이동인구의 감소 현상이 비교적 천천히 나타났습니다.
시민들의 반응 속도가 이전 1, 2차에 비해 더뎌진 셈입니다.
같은 기간 트위터, 커뮤니티 등 소셜 버즈량(키워드 '코로나') 추이를 살펴보면 1, 2차 유행보다 3차
대유행의 확진자 수가 크게 늘었는데도 버즈량은 오히려 줄었습니다.
오랫동안 연장된 방역 조치에 따라 시민들의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에 대한 학습효과가 생긴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다른 지역구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는 확진자 비율도 높았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른 지역구 인구의 유입이 가장 많은 중구와 종로구는 확진자 비율이 각각 0.18%, 0.21%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강서구, 중랑구는 유입인구 비율은 낮았음에도 지역에서 발생한 집단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비율이 높았습니다.
3차 유행 때의 확진자 증가와 인구 이동량을 자세히 살펴보면, 5인 이상 집합 금지 이후에도 확진자가 늘어난 자치구는 그렇지 않은 구에 비해 유입인구 감소율이 비교적 낮았습니다.
영등포구와 금천구의 사례를 보면 영등포구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이후에 확진자가 감소한 반면, 금천구는 확진자가 지속 증가했습니다.
영등포구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실시 전까지 타 지역으로부터의 유입 인구가 금천구보다 더 줄었는데, 이는 사업장 유형이나 근로조건 등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김형욱 KT 미래가치추진실 부사장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시민들의 피로와 불만, 그리고 경제 활성화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세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습니다.
[ 이예린 기자 / yrl@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