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얀마 군부 쿠데타 관련 보도 (사진=MBN뉴스) |
[매일경제TV] 미얀마 군사정권이 쿠데타를 일으킨 뒤 지난 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을 차단한 데 이어 어제(5일) 밤부터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모든 SNS 채널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양곤을 포함한 미얀마 주요 도시에선 지난 2일 밤부터 냄비를 두드리고, 차량 경적을 울리는 등 미얀마 군정에 항의하는 운동이 시작됐습니다.
이같은 영상과 사진이 페이스북 등 SNS 통해 미얀마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퍼지자 군정이 이 저항운동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에 나선 것입니다.
현지 언론은 '미얀마 시민불복종운동' 발표를 인용해 이날 전국 91개 국립병원, 18개 대학, 12개 정부 기관에서 저항 운동이 진행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양곤국립대, 다곤대 등에선 각각 학생 200명이 모였고, 교수들까지 항의에 가세해 대학가에서 동시다발적 움직임이 일어날 조짐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도 네피도에선 정부 공무원들이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상징인 빨간색 리본을 달고 저항을 상징하는 '세 손가락 경례'를 하며 항의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한편, B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수치 고문은 쿠데타 직후 “쿠데타를 인정하지 말고, '비폭력 저항운동'에 나서달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오늘(6일)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선 시민 약 1000명이 쿠데타에 항의하는 거리 시위에 나섰습니다.
[ 손세준 기자 / mksseju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