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6만8000톤·콩 1만톤·옥수수 2만5000톤·기타 6000톤 등 들여와


[매일경제TV] 해외에 진출한 농업기업들이 지난해 국내로 반입한 곡물은 11만 톤으로 집계됐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우리 해외농업개발 기업들이 2020년 한 해 동안 밀·콩·옥수수 등 11만 톤을 국내로 반입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5배 규모라고 어제(4일) 밝혔습니다.

국내 곡물 반입량은 2010년 0.04만톤에서 2015년 1.0만톤, 2019년 4.4만톤, 지난해 10.9만톤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품목별로는 밀 6만8000톤, 콩 1만톤,옥수수 2만5000톤, 기타 6000톤이 각각 국내로 들어왔습니다.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는 곡물 수입국으로, 쌀은 자급이 가능하지만, 밀·콩·옥수수 등 곡물은 연간 1700만톤을 수입(2019년 기준)하고 있습니다.

해외농업개발 사업은 2007년~2008년 국제곡물가격 급등을 계기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곡물에 대해 우리 기업들의 해외 생산·유통·반입을 지원해 비상시 반입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2009년 처음 시작됐습니다.

농식품부는 이 사업을 통해 국제 곡물메이저에 의존해 온 곡물 공급망을 다양화하고, 우리 기업의 생산·유통망 진출을 위한 민간 투자와 해외 정착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러나, 그간 대규모 물량 취급에 필수적인 곡물유통시설(수출엘리베이터 등)의 확보가 어려워 국내 반입량은 5만 톤 수준에 머물러 있었으나, 지난해들어 우리 기업들은 주요 지역의 곡물수출터미널을 지분투자 등을 통해 확보하고 곡물을 한국에 대량으로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업별 실적을 살펴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우크라이나에 연간 취급물량 250만 톤 규모의 곡물수출터미널을 인수했으며, 이를 통해 지난해 사료용 밀 68000톤을 국내에 공급했습니다.

팬오션은 미국 북서부에 연간 900만 톤 규모의 곡물수출터미널의 지분을 확보했고, 올해부터 이 터미널을 통해 사료용 옥수수 등을 국내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전통적으로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한 북방지역(러시아 연해주) 등에서도 농장을 확보해 옥수수·콩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반입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셉니다.

농식품부는 올해 정책자금 지원조건을 개선하고, 교육·컨설팅·투자환경 조사·정보제공 등을 통해 기업의 진출과 정착을 늘려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곡물사업 진출 활성화를 위해 사업자금 융자 금리를 0.5%p 인하(2.0%→1.5%)했고, 국제 곡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농식품부 이상만 국제협력국장은 “지난 10년간의 꾸준한 투자와 인력양성을 통해 우리 기업이 대규모 곡물유통시설을 운영해 국내 공급이 늘어난 점을 높이 평가하며, 특히 국제곡물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을 통한 해외 곡물 생산·유통이 늘어나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해외 곡물사업에 진출하여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착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경재 기자 / mkkdc@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