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삼겹' 논란에 멍드는 한돈 농가...전년 대비 25% 상승 '산지가격은 급락'

돼지고기 부위별 소비 불균형에서 가격 왜곡 현상 발생, 저지방 부위에 대한 소비 필요

최근 5년 간 돼지고기 가격 변화, 1월 기준 / 자료=한돈자조금
[매일경제TV] 최근 삼겹살 가격이 급등하며 '금삼겹'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산지가격은 폭락해 한돈 농가들이 어려움 겪고 있습니다.

오늘(4일)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가 "최근 돼지고기의 소비자가격 상승률이 높아졌지만 정작 산지가격은 폭락해 한돈 농가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돼지고기(삼겹살) 소비자 가격은 kg당 평균 2만1130원(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 기준)으로 조사됐습니다.

작년 1월 1만6900원에 비해 25%나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산지가격은 kg당 3664원(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 기준)으로 3년 전부터 여전히 생산원가인 4200원에 못 미치는 3000원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한돈자조금은 "이 같은 가격 왜곡 현상은 돼지고기 부위별 소비 불균형에서 발생한다"며 "코로나19 사태로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긴급생활자금이 지원되며 삼겹살, 목살 등 구이용 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럼에도 등심, 다릿살 등의 저지방 부위에 대한 소비가 저조해 재고가 쌓이며 산지 가격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학교 급식 중단과 외식소비 감소로 저지방 부위의 재고가 더욱 많이 쌓이면서 상황은 악화되고 있습니다.

한편 한돈자조금은 "한돈은 수요가 많은 구이용 부위에만 높은 소비자 가격이 형성됨에 따라 한돈에 대한 가격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며 "다릿살 같은 저지방 부위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 손세준 기자 / mkssj@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