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올해 디지털 농업기술을 보급하고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기반을 조성하는 데 주력합니다.
농진청은 오늘(4일) 2021년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데이터 기반의 고효율 디지털 농업기술 개발' 등 5개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면서 '살고 싶은 농촌, 삶이 행복한 농업인'을 구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농업의 편리성·생산성·품질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고효율 디지털 농업기술을 개발합니다.
양·수분 정밀제어 기술, 영상정보를 활용한 병해충 자동 진단기술 등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농장(스마트 팜) 기술을 노지로 확대합니다.
나아가 노지재배 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드론·위성·자율주행로봇을 활용한 노지 디지털 기반 기술을 개발합니다.
농촌 소멸화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부처·기관 등과 협력해 청년농업인의 기술창업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창업 보육기반을 확대합니다.
또 취농과 창업 준비부터 지역 정착, 전문농업인으로 성장하기까지 필요한 종합 기술지원 체계를 구축해 청년이 돌아오는 농업 기반을 조성합니다.
지역 소멸 우려가 높은 지역에는 맞춤형 지역특화 농업기술을 적용하고, 지역 특산물과 식문화를 융합한 지역 주도형 농산물의 소비를 늘리기 위한 연구를 강화합니다.
식량 자급률을 향상하기 위한 혁신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올해 주요 과제 중 하나입니다.
'황금알'·'오프리' 등 용도에 맞는 기능성 밀 품종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보리 품종을 개발하고, 지역별 여건과 수요자에 맞춘 국산 벼 품종을 확대 재배해 외래품종 쌀을 대체합니다.
땅속 배수 기술과 논을 이용한 작부체계 기술을 개발해 논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식량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밭농업 기계화에 최적화된 품종을 개발하며, 농민이 탈 수 있는 '승용형 양파 정식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밭농업 기계 개발도 강화합니다.
허
태웅 농촌진흥청장은 "고령화와 인구 정체로 농촌 소멸이 우려되고 기후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맞고 있지만, 농업은 과학기술을 통해 혁신과 성장을 창출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현장·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농업기술을 개발·보급함으로써 '청년이 돌아오는 살고 싶은 농촌'을 만들고 농업인과 국민의 삶이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김예솔 인턴기자 / yesol@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