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
녹십자랩셀과 미국 관계사 아티바 테라퓨틱스가 미국 머크(MSD)와 총 2조원대 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수출을 성사시켰습니다.
GC
녹십자랩셀은 아티바와 고형암에 쓰는 CAR-NK 세포치료제 3종을 공동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29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은 아티바가 미국 MSD로부터 공동 연구개발을 수주한 데 따라 GC
녹십자랩셀에서 일부 업무를 담당하게 돼 체결된 것입니다.
아티바가 MSD에 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을 수출하고,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데 대한 전체 계약 규모는 18억6천600만 달러(약 2조900억 원)입니다.
GC
녹십자랩셀 관계자는 "아티바가 MSD와 세포치료제 플랫폼 관련 기술을 수출하고 공동연구를 하게 된 데 따라 애초 해당 기술을 보유하고 있던 GC
녹십자랩셀에서 아티바와 계약을 맺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티바는 2019년 GC(
녹십자홀딩스)와 GC
녹십자랩셀이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 샌디에이고에 설립한 법인입니다.
이후 GC
녹십자랩셀은 아티바에 자연살해 세포치료제와 관련한 기술을 이전한 바 있습니다.
2조원이 넘는 전체 계약 규모 중에서 GC
녹십자랩셀과 아티바의 계약 규모는 9억8천175만 달러(약 1조980억 원)입니다.
이날 공시에 언급된 금액은 GC
녹십자랩셀에 직접 유입됩니다.
반환 의무가 없는 계약금은 1천500만 달러(약 170억 원), 단계별 성공에 따른 기술료인 마일스톤은 9억6천675만 달러(약 1조800억 원)으로, 상업화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로 지급됩니다.
MSD와 아티바, 아티바와 GC
녹십자랩셀로 이어지는 계약에 따라 이들 회사는 총 3가지 고형암에 대한 CAR-NK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합니다.
MSD는 향후 임상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전 세계 독점 권리를 갖게 됩니다.
이번 계약은 특정 신약 후보물질을 수출하는 경우와 달리 원천 플랫폼 기술을 수출하고, 초기 단계부터 공동 연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GC
녹십자랩셀 관계자는 "글로벌 제약사가 GC
녹십자랩셀의 CAR-NK 플랫폼 기술을 몇 개 프로젝트에만 활용하는 데 수조 원의 가치로 산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GC
녹십자랩셀과 아티바의 글로벌 수준의 역량이 더해진 결과로 평가된다"고 말했습니다.
[ 고진경 기자 / jkkoh@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