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 3.3㎡당 평균 분양가 추이. [사진 출처 = 부동산R114] |
경기도 분양가가 작년까지 3년간 4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아파트(임대 제외) 3.3㎡당 평균 분양가는 1981만원으로 2021년 1388만원과 비교해 3년 사이 42.7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국평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로 환산하면 3년간 약 4억7800만원에서 6억8300만원으로 2억원 이상 오른 셈이다.
지난해 분양가가 가장 높았던 지역은 과천시로 3.3㎡당 무려 4342만원에 달했다.
작년 서울 평균인 4820만원과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 금액이다.
이어 ▲안양시 3630만원 ▲성남시 3390만원 ▲광명시 3056만원 ▲수원시 2711만원 등이다.
올해도 분양가 상승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7일까지 경기도 평균 분양가는 2042만원으로 지난해 1분기 1963만원을 앞질렀다.
이른바 ‘로또분양’으로 통하는 분양가상한제 주택도 이를 피해 가지 못한 모습이다.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분양가상한제 주택의 분양가를 구성하는 항목 중 하나인 기본형건축비를 1㎡당 210만6000원에서 214만원으로 또다시 인상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경기 의정부에서는 대표적으로 ‘의정부 롯데캐슬 나리벡시티’의 계약률도 높아지고 있다.
계약금은 5%(1차 1000만원 정액제)로 낮췄으며, 계약금 중에서 50%는 대출알선을 통해 대출이자를 전액 지원하는 계약자 혜택을 제공해 예비 입주자의 자금 부담을 크게 낮췄다.
경기도 용인에서는
대우건설이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를, 김포에서는 롯데건설이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할 예정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1400원대 환율이 고착화되는 가운데 아파트 건축 자재를 수입하는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가해지면서 분양가도 크게 상승하고 있다”며 “이에 분양가가 더 오르기 전 알짜 단지를 선점하려는 수요자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