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9.07포인트(0.29%) 내린 41,249.38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03포인트(0.07%) 내린 5,659.91, 나스닥종합지수는 0.78포인트(0.00%) 오른 17,928.92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주말 스위스에서 열리는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과 경계심이 엇갈리며 방향성을 잡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번 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45% 관세를 부과한 이후 처음 열리는 자리로, 실질적인 성과보다는 해빙 분위기 조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중국에 8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게 적절해 보인다"고 밝혀 협상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시장에서는 대중 관세가 60% 정도까지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트럼프의 언급은 시장의 단기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백악관도 이날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중국 양보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가 없는 가운데, 연준(Fed) 인사들의 발언에 주목했습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일수록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를 잘 고정(anchor)시키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중앙은행은 반드시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가 연초 예상보다는 회복력이 약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마이클 바 연준 이사는 "관세 부과로 올해 말부터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미국과 해외 경제 모두 성장률이 하락할 것"이라며 "관세 인상은 인플레이션에 지속적인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는 "일부 모델의 자연실업률(U*) 추정치가 4.2% 부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용시장은 최대 고용 수준에 근접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 이상 상승한 반면, 헬스케어는 1% 이상 하락했습니다.
'매그니피센트7' 중에서는 테슬라가 5% 넘게 상승했으며, 나머지 대형 기술주는 보합권에 머물렀습니다.
리프트는 자사주 매입 확대 발표 이후 주가가 28% 급등했고, 핀터레스트는 1분기 호실적과 2분기 가이던스 상향으로 약 5% 상승했습니다.
반면 익스피디아는 1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7% 넘게 하락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은 전날과 같은 82.8%로 집계됐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58포인트(2.58%) 내린 21.90으로 마감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