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투시도. [사진 출처 = 두산건설] |
지난 2월 역대급 공급 부진이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아파트 공급 감소세가 뚜렷한 가운데 2월 분양 물량이 최근 6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12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청약홈 자료를 집계한 결과 올해 2월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 물량은 3704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3497가구)과 비슷한 수준으로 2020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특히 과거 2월 분양 물량과 비교했을 때 확연한 감소세를 확인할 수 있다.
분양 물량이 2만 660세대로 가장 많았던 작년 2월과 비교하면 올해 2월 분양 물량은 1/5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 2023년 2월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이며, 2020년 이후 2월 평균 분양 물량인 1만1750세대와 비교하면 1/3 수준이다.
최근 공급 물량 추이를 보면 지난해 11월 1만7148가구 12월 1만4114가구가 공급된 이후 올해 들어 공급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모습이다.
올해 1~2월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 물량은 22개 단지에서 7201가구가 공급되는 데 그쳤다.
공급 부진은 이달 분양 성수기에도 이어지고 있다.
전국에서 3월 첫째 주 모집공고를 낸 단지는 한 단지도 없었다.
업계에서는 탄핵시국 이후로 분양을 잡고 있는 단지가 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례로
현대건설은 경기 의정부에서 2월 공급 예정이던 ‘힐스테이트 회룡역 파크뷰’ 분양을 4월로 연기했다.
한화 건설부문과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의 ‘고양 더샵포레나 원와이든’ 도 4월 분양 예정이며 두산건설이 경기 남양주시 평내동 일원에서 진행하는 ‘두산위브더제니스 평내호평역 N49’ 분양도 4월 분양을 앞뒀다.
아파트 공급 일정은 예년과 달리 3월 하순 이후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나서 불확실성이 해소된 이후로 분양을 미룰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서울 강남권 중심의 재건축 사업과 서울 강북지역 중심의 재개발이 추진되면 서울 집값과 그 주변부 집값을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 최근 서울 강남 중심의 집값 상승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고 주변으로 집값 상승이 확대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분양가 상승을 바라보는 시각도 정권에 따라 확연히 다르다.
리얼하우스 집계를 보면 서울 전용 84㎡의 평균 분양가는 2월 기준 16억3411만원으로 강원, 경상, 전라, 충청이 5억을 넘지 않는 것과 대비된다.
한쪽은 공급 부족을 문제라고 보기 때문에 서울 등 중심부의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다른 한쪽은 민간부분 보다는 공공부분의 공급 확대 중심의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평가팀장은 “어느 쪽이 집권하든 수도권 중심의 집값 상승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며 ”공공 부분의 공급 확대는 우선 시간이 많이 걸리고 서울이나 인접한 지역 공급 확대가 사실상 힘들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도권 주택공급 부족 이슈가 꼬리표처럼 따라다닐 것이고 다른 쪽은 정비사업 추진에 따라 수도권 집값을 단계적으로 자극할 것”이라고 짚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