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하락 거래 비중 44.9% 달해
 |
서울 아파트 전경. (매경DB) |
부동산 경기 침체로 종전보다 더 낮은 가격에 이뤄진 ‘하락 거래’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기업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중 44.9%는 종전보다 가격이 낮은 하락 거래인 것으로 드러났다.
하락 거래 비중은 2023년 12월(47.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하락 거래는 11월 43.7%를 찍으며 상승 거래 비중(42.6%)을 넘어섰다.
수도권은 지난해 12월 하락 거래 비중(43.4%)이 상승 거래보다 높아졌다.
올 1월 하락 거래 비중은 43.6%를 기록했다.
서울은 여전히 상승 거래가 많지만 금천구(66.7%) 노원구(55.7%) 등 외곽지역에서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을 훌쩍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 하계동 하계1차청구아파트 전용 84㎡는 최근 6억8000만원에 실거래됐다.
직전 매매가(8억8000만원) 대비 2억원 하락한 시세다.
지방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지난해 11월 하락 거래 비중이 44.8%를 기록해 상승 거래(42.7%)를 앞지르기 시작했다.
올 1월 하락 거래 비중은 45.6%로 상승 거래(42.1%)보다 한참 높다.
한편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올 1월 거래량은 1만8719건으로 전년 동기(3만1561건) 대비 40% 넘게 줄었다.
직방 측은 “경기 침체, 정국 불확실성, 금리 인하 지연 등의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돼 거래가 살아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