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자제품과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완화 기대감이 잠시 일었지만, 전략 산업을 겨냥한 강경 기조가 이어지며 산업계 긴장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도 한국산 핵심 소재에 대한 관세가 대미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다며 우려를 전달했습니다.
현연수 기자입니다.


【 기자 】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와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입장을 다시 밝혔습니다.

현지시간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를 통해 "금요일에 발표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라며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그는 전자제품을 국가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대통령 각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관세 완화 기대감이 확산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같은 해석을 일축하며, 전략 산업을 정조준한 관세 부과 방침에는 변화가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 인터뷰 : 하워드 러트닉 / 미국 상무부 장관
- "그(트럼프)가 하는 말은, 전자제품이 상호 관세에서 면제되지만 한두 달 내로 발표될 반도체 관세에는 포함된다는 것입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율이 얼마나 될지 묻는 말에는 "다음 주 중에 발표하겠다"고 대답했습니다.

이어 "일부 기업들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확실하진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정부도 변화무쌍한 관세 정책 대응에 나섰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상무부에 의견서를 제출하고, 한국산 구리 제품에 대한 관세가 대미 투자 기업의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를 전달했습니다.

산업부는 한국산 동박이 미국 배터리 생산의 핵심이며, 관세가 미국의 제조업과 공급망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수입 품목이 국가 안보를 해칠 경우, 대통령이 관세 등 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조항입니다.

전략 품목 전반에 대한 관세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국 산업계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현연수입니다.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