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미국의 일관성 없는 관세 정책으로 수출기업들의 불안감이 여전한 상황입니다.
금융 당국은 은행권에 자금 공급을 주문했는데요.
기업대출을 줄이고 있던 은행권은 리스크 관리라는 새로운 숙제를 안게 됐습니다.
김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9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의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발효 일주일만에 번복으로 미국 정책의 신뢰도가 무너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자산시장에서 자본이 급속도로 빠지면서,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지난 11일 3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원화 가치가 크게 개선되지 못하면서 달러당 원화값은 1420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

자금난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국내 5대금융은 약 35조원 규모의 자금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만 기업대출을 줄여오던 은행권에게 이번 지원 결정은 연체율 리스크라는 새로운 숙제를 가져왔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은행권의 기업대출 잔액은 지난 3월 약 2조1000억원 감소했습니다.

 주요 은행들 신용리스크 관리 강화와 부실채권 매·상각 등으로 중소기업 대출이 크게 줄어든 결과입니다.


또 기업대출 증가는 은행권의 밸류업 계획에도 차질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은행권은 밸류업의 일환으로 보통주 자본비율을 13% 이상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는데, 이를 위해서는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가 높은 기업대출을 줄여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업종별 차등 지원과 투자를 통해 연체율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 인터뷰(☎) : 김상봉 /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업종에 따라서는 경기 역행적인 업종들도 있어요. 경기가 안 좋을 때 오히려 투자를 해서 나중에 매출을 늘리는 이런 부분들도 있을 것이고요. 그다음에 새로운 신기술 같은 경우에는 어느 정도 매출이 나는지 확인이 안 됐거든요. 그런 기술들 같은 경우에는 대출이 아니라 투자를 하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금융당국은 은행들의 건의로 기업대출의 위험가중자산 가중치를 하향조정하는 방안 등 금융권 자본보강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은행권의 기업지원과 연체율 관리 행보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김우연입니다.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