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 주행 중인 자율주행차 '로보라이드'/ 연합뉴스 |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 고도화된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려면 연구개발(R&D) 투자와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오늘(9일)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KAIA) 회장은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제29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우리나라는 자율주행차 레벨3(조건부 자동화) 관련 법·제도가 마련돼 세계에서 세 번째로 레벨3 자율주행차(제네시스 G90) 판매를 준비하고 있지만 레벨4(고도자동화)의 경우 선두 주자인 미국과 중국보다 기술력이 뒤쳐진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정 회장은 미국 GM크루즈가 무인 택시 사업 면허를 취득한 것과 중국이 2023년 생산 계획인 레벨4 자율주행 양산차를 공개한 것을 우리나라의 사례와 비교하며 "선도국가와의 격차 축소를 위해 연구·개발 확대와 주행데이터 축적을 위한 규제 완화나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 CB 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자율주행차 업체들은 각각 70억 달러(약 9조 2천억 원), 50억 달러(약 6조 6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2027년까지 정부 투자가 1조 1천억 원, 2025년까지
현대차 등 기업 투자가 1조 6천억 원으로 미국과 중국에 비해서는 규모에 있어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 회장은 이에 대해 "2025년 레벨4 대중교통 상용화와 2027년 레벨4 상용화 달성을 위해서는 민관의 투자 확대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신형성 국토교통부 주무관은 완전자율주행차 시대에 대비해 레벨4자율주행차 성능인증제도를 조속히 마련하고 통신·정밀도로지도 등 인프라도 적극 확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조이지
현대모비스 책임연구원은 법·제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며 "윤리적 이슈, 외부보행자 보호, 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 등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신재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단장도 수익 창출 모델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하며 정부와 민간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언급했습니다.
[ 민수정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