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IB 실리콘 음극재 시장 전망 |
오는 2035년 글로벌 리튬이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작년보다 10배 이상(사용량 기준)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향후 전기차 주행거리 확대와 항공용 등 신규 애플리케이션 적용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관측에 따른 것입니다.
21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리튬이차전지 음극재 시장에서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30년 4%, 2035년 6%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간 실리콘 음극재 사용량은 각각 16만4천t, 2035년 29만5천t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됩니다.
시장 규모(금액)도 2030년 45억 달러, 2035년 70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됩니다.
지난해 실리콘 음극재 시장 비중은 전체 음극재 시장(196만8천t) 중 1.3%(2만6천t)에 그쳤습니다.
최근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저가 전기차, 배터리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리튬인산철(
LFP) 양극재가 강세를 보인 데다, 음극 소재도 저가 흑연이 강세를 보이며 실리콘 음극재 사용이 다소 주춤했다는 게 SNE리서치의 분석입니다.
SNE리서치는 "향후 전기차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리고 급속충전 성능을 향상하고자 하는 완성차 및 배터리 업체와 중국 스마트폰용은 물론 항공용, 특수용 신규 애플리케이션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하려는 업체 수요가 맞물리면서 실리콘 음극재 시장이 본격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 음극재 대비 배터리 에너지밀도를 4∼10배 높일 수 있고, 전기차 주행거리 증가 및 충전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다만 실리콘 특유의 부풀어 오르는 성질(스웰링 현상) 통제와 단가를 낮추는 것이 주요 과제로 꼽힙니다.
실리콘 음극재 시장은 현재 중국 BTR(점유율 31.9%)이 1위를 차지했으며 중국의 샨샨(8.1%), 일본의 신에츠(6.6%)가 뒤를 이었습니다.
BTR은 지난 2022년 중국 선전에 50억 위안(약 9천700억 원)을 투자해 연간 4만t 실리콘 음극재 프로젝트 공장 건설을 시작했으며, 완공은 2028년으로 예상됩니다.
SK·LG·포스코·롯데 등 국내 주요 업체들 역시 실리콘 음극재 소재를 개발하고 조만간 양산을 본격화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유진 기자 / lee.youji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